본문 바로가기
이모저모

의성 산불 진화 헬기 추락 사고 원인

by onedayissue-1 2025. 3. 26.

반응형

의성 산불 진화 헬기 추락 사고 원인

 

 

경북 의성군에서 산불 진화 중이던 헬기가 추락해 조종사 1명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2025년 3월 26일 오후 12시 54분경 의성군 신평면 야산에서 발생한 이 사고의 원인에 대해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하는데요.. 인포즈센터가 이번 헬기 추락 사고의 원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의성-산불-진화-헬기-추락-사고-원인
의성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 사고 원인

 

사고 상황과 원인 조사

 

사고 헬기는 강원도 인제군에서 산불 진화 지원을 위해 임차한 S-76B 기종으로, 73세 조종사가 탑승하고 있었습니다. 이 헬기는 낙동강에서 물을 받은 후 산불 현장으로 돌아와 진화 작업을 하던 중 추락했습니다.

사고 원인 관련 정보

  • 목격자 진술에 따르면 헬기가 전깃줄에 걸렸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한국전력 측은 전깃줄에 걸리지 않았다고 밝혀 추가 조사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 짙은 산불 연기로 인해 시야가 가려졌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 사고 당시 의성군에는 순간 풍속 0.5m/s의 북서풍이 불고 있었습니다.
728x90

헬기 노후화 문제

 

이번에 추락한 헬기는 기령(기체 나이)이 30년 된 노후 기종이었습니다. 산불 진화용 헬기의 노후화와 정비 문제는 국회 국정감사에서 수년째 지적되어 온 사안입니다.

헬기 노후화 현황

  • 2023년 기준 산림청 보유 헬기 47대 중 기령 20년 초과 헬기가 66%(31대), 30년 초과 헬기는 19.1%(9대)에 달합니다.
  • 지자체 임차 헬기의 경우 더욱 심각하여, 최근 사고들은 기령 20년 이상의 경년기에서 주로 발생했습니다.

 

과거 산불 진화 헬기 사고

 

2013년부터 2023년까지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 사고는 10건 발생했으며, 16명이 사망하고 5명이 부상했습니다. 이번 의성 사고까지 포함하면 12년간 11건의 추락 사고로 17명이 사망한 셈입니다.

지자체 임차 헬기 사고 특징

  • 지자체 임차 헬기 사고는 기령이 많은 것이 특징적입니다(최대 52년).
  • 국회 검토보고서는 "지자체 임차 헬기에서 추락 사고가 많이 발생한 이유는 경년기가 많고, 안전 관리 및 부품 교체·정비 등이 미흡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의성-산불-진화-헬기-추락-사고-원인
의성 산불 진화 중 헬기 추락 사고 원인

산림청은 이번 사고 후 안전을 위해 전국에 투입된 산불 진화헬기의 운항을 일시 중단했다가 부분 재개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비용이 크게 들더라도 산림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고려해 예산을 아끼지 말고 대형 헬기 확충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어려운 시기에 또 다시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더 이상의 피해 없이 산불이 조속히 진화 되었으면 좋겠네요..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반응형